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0

애착 이론 연구에서 본 외로움 애착이론은 대인관계 행동과 긴밀한 관계의 질을 높이고 연구하는 핵심적인 접근방식이다. 이 번 글에서는 외로움을 개인마다 어떻게 느끼는지 이해하기 위해 애착이론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애착 관련 인지적 그리고 행동적인 기제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일단 애착이론의 요점을 먼저 정리하고, 성인애착을 지향하는 두 주요한 차원의 애착불안과 회피에 대해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이어서 이러한 두 차원의 외로움의 연관성을 다시 한번 점검하면서 이런 관계가 애착과 관련된 인지와 동기적 기제에 의해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애착을 지향하는 개인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내적인 표상과 대인관계에서의 정신적 각본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도록.. 2025. 2. 18.
사회적 위축개념의 명료화와 집단측정으로의 회귀 이 시기동안 사회적 위축이라는 보다 큰 구성개념에 대해 존재하는 상당히 구체적인 차원들을 밝혀내는 데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이 시기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출판물은 위축이 단일 요인의 구성개념이 아니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본적인 차원을 갖고 있는 이질적인 현상임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있다. 관찰로 인해 나온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들은 아동이 자유놀이 시간에 그들의 사회적인 환경 안에서 조용하게 탐색하거나 무엇인가를 구성하면서 홀로이 시간을 보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단독적이고, 수동적인 활동의 측정치와 아동이 인지적으로 미숙한 방식으로 혼자 노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단독적이고 적극적인 놀이 측정치들을 고안하였다. '개정판 학급놀이'의 세부 문항을 사용하여 단독적이고 수동적인 활동을 .. 2025. 2. 18.
외향적, 내향적 성격의 일반적 태도의 유형 융의 심리학적 유형을 두 가지 측면에서 보는데, 첫 번째는 일반적인 태도상에서 보이는 유형으로 내향적 태도, 외향적 태도를 말한다. 두 번째는 정신의 각 특수기능을 중점으로 그중 적응하는 과정에서 가장 주로 쓰이는 분화된 기능에 따라 구분하는 유형이다. 이를 기능유형이라 칭하는데, 여기서는 먼저 앞의 것을 먼저 다루기로 한다. 흔하게 내향적인 태도는 수줍고 사교적이지 못한 태도, 외향적인 태도는 사교적이고 활동적인 사람의 태도를 두고 말한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전통적인 해석이고 단지 그 개념의 한 면 만을 지적한 말이다. 내향적, 외향적 태도의 구별은 그 개체의 주체와 객체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가릴 수 있다. 그 사람의 태도가 객체를 주체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면 그를 외향적 태도라고 말한다. 반대로 객체.. 2025. 2. 17.
심리학적 유형론과 인간상호관계 심리학적 유형의 학설은 융의 학설가운데서 비교적 초기의 학설에 속한다. 융의 후대의 관심은 점점 깊이 무의식의 내용과 기능에 집중되었으므로 무의식에 관한 체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그것을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 않지만, 심리학적 유형론은 의식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유형, 또는 무의식과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학설로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비교적 쉽게 이해되고, 보현적으로 내향적 외향적이라는 말은 그 말을 누가 처음 사용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도 일상대화에서 사용할 정도로 보편적인 용어가 되었다. 물론 그로 인해 원래뜻이 많이 변질된 것도 사실이다. 융이 심리학적 유형에 관해서 그의 여러 논문들을 집대성해서 출간할 때, 그는 서문에서 이 책이 거의 20년에 걸쳐서 연구의 성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여.. 2025. 2. 17.
자기의 자기실현과 자기원형 내 마음은 내가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과연 내가 누구인지를 아는가. 남이 나의 허를 찔러 비난하면 일단 화부터 낸다. 남이 잘났다고 칭찬하면 우쭐해진다. 남이 나를 못났다고 하면 위축돼서 정말 못났다고 믿는다. 어느 경우나 우리는 나의 진정한 모습을 못 보고 있고 정말 자기 자신을 보는 것을 피하고 있다. 자기 나름의 자화상에 사로잡혀서 그는 눈을 못 보게 된다. 바꿔 말하면 '자아'가 의식에만 매달리면 그가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마음의 세계 무의식을 못 본다.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자신을 못 보고 자기 잘난 맛에 또는 못났다는 생각 속에서 사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이렇게 반쪽자리 인생으로 사는 것에는 만족하지 못한다. 자기의 자기 원형인간에게는 전체로서의 .. 2025. 2. 16.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원형론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그것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 존재를 진심으로 깨다든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람들은 너무 쉽게 '무의식' 또는 '무의식적'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또는 너무 쉽게 그런 것은 없다고 단정한다. 그런 것이 과연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는지 안 하는지에 대하여 회의감을 느끼는 것이 차라리 무의식의 존재를 인식하는데 올바른 태도라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무의식은 있다고 하면 있는 것이고 없다고 하면 없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그것을 직접 체험해 봄으로써 그 존재를 비로소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무의식의 개념은 머리로 생각해서 만들어낸 말이 아니라 체험을 토대로 획득한 사실에 붙인 이름이다. 하지만 경험이란 그 체험하는 주체에 따라서 여러 가지이므로 .. 2025. 2. 16.